
전라남도에 위치한 순천시는 천만과 순천만 국가정원, 드라마 촬영지 등 관광자원이 풍부한 곳이죠. 순천에는 낙안읍성과 조계산 선암사, 그리고 문화의 거리와 벽화마을 등이 있어요. 순천시는 2025년 5월 말 기준 인구가 약 282,000여 명 수준으로 도농복합시 형태를 갖추고 있습니다. 산업 구조 측면에서는 과거 제조업 기반이 약한 도시였지만, 최근 순천시는 문화 콘텐츠, 우주방산, 바이오 산업, 그리고 치유관광 산업을 중심으로 산업 다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농업과 수산업 기반도 상당합니다. 순천시의 전체 경지면적 중 논과 밭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고등원예농업이 발전했습니다. 그리고 꼬막·굴 등 연안 수산 양식이 주요한 소득원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순천시 일반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품 배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일반 쓰레기 배출 방법

순천시에서 쓰레기를 버릴 때는 일반쓰레기, 음식물쓰레기, 재활용품을 각각 따로 분리해서 배출해야 합니다. 일반쓰레기는 지정된 ‘종량제 봉투’를 구매해서 배출해야 합니다. 순천시 종량제 봉투는 편의점이나 마트, 슈퍼 등지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데요. 투명한 비닐이나 일반 검정봉투에 버리면 수거되지 않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봉투는 5L부터 100L까지 다양하게 판매되며, 일반 가정집에서는 주로 20L나 50L를 많이 사용하더라고요.
종량제봉투는 상단에 표시된 선까지만 폐기물을 담으시면 되고요. 빗물 등이 유입되는 일이 없도록 잘 묶어서 배출하시면 되겠습니다. 배출 장소는 정해진 수거 지점이며 배출 시간과 구체적 요일은 거주 형태(단독주택/아파트 등)나 동별로 약간씩 다를 수 있으니 순천시청 홈페이지에서 정확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음식물 쓰레기 배출 방법

음식물쓰레기는 순천시에서 전용 수거용기에 담아서 배출해야 합니다. 일부 아파트 단지에서는 RFID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일반 주택의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 전용 용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배출 가능한 음식물쓰레기는 주로 채소껍질, 과일껍질, 밥, 국물, 육류 잔해 등이 있고, 배출이 불가능한 항목은 달걀껍질, 조개껍질, 닭뼈, 생선가시, 양파·마늘껍질, 티백 등입니다. 저도 헷갈려서 종종 검색해보곤 했는데요. 순천시청 홈페이지나 포털에 ‘순천 음식물쓰레기 배출 기준’으로 검색하면 내용이 잘 나와있어요. 이게 일반 쓰레기인지 음식물 쓰레기인지 헷갈리신다면 순천시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중요한 건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할 때 물기를 최대한 제거해야 악취를 줄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여름철에는 수거가 조금만 늦어져도 벌레가 생기기 쉬워서 되도록이면 물기를 최대한 제거해서 자주 버리는 게 좋습니다.
재활용품 배출 방법

순천시는 플라스틱, 캔, 유리병, 종이류 등 재활용 가능 품목을 최대한 선별해서 버려야 합니다. 재활용품에 해당하지 않는 건 일반 쓰레기나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하여 버려야 하고요. 재활용품 종류에 따라 수거일자가 정해져 있는데요. 플라스틱류는 월요일과 목요일입니다. 캔, 유리병, 박스, 종이는 화요일, 금요일이에요. 그리고 비닐류는 수요일과 토요일입니다.
재활용품 배출 방법은 순천시청 홈페이지에 자세히 나와있는데요. 플라스틱의 경우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라벨을 제거한 뒤 투명봉투에 담아서 배출해야 합니다. 색이 있는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어려운 경우도 있으니 되도록 투명하거나 단일 재질의 플라스틱을 잘 골라내는 습관이 필요하죠.
캔이나 병은 안에 이물질이 남아 있으면 재활용이 어려워지므로 깨끗이 세척 후 배출해야 합니다.종이류는 스티커나 비닐 포장을 제거한 뒤 묶어서 내놓는 것이 원칙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순천시 일부 지역에서는 투명 페트병 따로 분리 수거 캠페인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분리배출 기준은 시청에서 발행하는 안내문에도 상세히 적혀 있으니 확인해보시고요. 아파트나 주택가 게시판에도 붙어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대형폐기물 처리 방법
생활 중 가구나 가전제품처럼 일반봉투에 담을 수 없는 대형폐기물을 배출할 때는 별도의 신고 및 수수료 납부 절차가 필요합니다. 순천시의 경우 인터넷이나 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대형폐기물 배출 신고를 할 수 있고, 수수료를 납부한 뒤 스티커를 붙여서 내놓아야 합니다.
최근에는 ‘순천시 대형폐기물 신고센터’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하고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도 운영 중입니다. 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소파, 책상 등 종류에 따라 금액이 정해져 있는데요. 결제 후 출력한 스티커나 신고번호를 부착한 상태로 지정된 장소에 배출하면 됩니다.
순천시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suncheon.go.kr/kr/life/0002/0001
순천시 일반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품 배출과 관련된 자세한 방법은 순천시청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시면 되는데요. 홈페이지에는 사업장 폐기물 처리 방법, 건설 폐기물 처리 방법에 대해서 확인해볼 수 있고요. 순천e민주정원이라는 플랫폼을 통해 정책 제안, 설문조사, 시민 투표가 가능하고, 주민 조례청구 제도나 적극행정 제안, 예산절감 제안, 불편사항 신고 등을 할 수 있습니다.